search for




 

  • 1999년 11월 제정
  • 2012년 11월 개정
  • 2014년 3월 개정
  • 2016년 12월 6일 개정
  • 2018년 5월 개정
  • 2020년 6월 개정
  • 2023년 1월 개정

원고의 성격

  1. 임상노인의학회지(The Korean Journal of Clinical Geriatrics)는 대한임상노인의학회(The Korean Academy of Clinical Geriatrics)의 공식학회지로서, 임상노인의학 학술연구와 최신 노인의학에 대한 정보를 다룬 논문을 게재하는 상호심사학술지이다. 노인에 대한 전문적인 진료에 도움이 되도록 하기 위해 노인 관련 사회 및 보건 정책, 다양한 임상 분야별 진단, 치료 및 예방 등과 관련된 내용을 주로 다룬다. 국문 또는 영문으로 연 3회(4월 30일, 8월 30일, 12월 30일) 발행하며, 필요 시 부록을 발간한다.

원고의 종류

  1. 원고의 종류에는 원저, 종설, 증례, 단신, 독자편지 등이 있다.

연구 수행과 윤리규정

  1. 1. 윤리적 검토 사항
    사람을 대상으로 한 연구의 연구자는 헬싱키 선언(Declaration of Helsinki, 1975년 제정, 2013년 개정판)에 입각해 대상자 또는 보호자에게 연구의 목적과 연구 중 발생할 수 있는 일에 대해 충분히 설명한 후, 서면으로 동의 받았음을 원고에 명시한다. 대상자의 개인 정보는 어떤 형태로든 게재할 수 없고, 관련 사진을 제출할 때에도 신원을 알 수 없도록 한다. 또한 해당 기관의 연구윤리심의위원회(Institutional Review Board, IRB)에서 연구 계획을 승인 받고, 이를 원고에 기술한다.
    동물 대상 연구에서도 연구기관 윤리위원회가 승인했거나, 해당 규정 또는 NIH Guide for the Care and Use of Laboratory Animals (1996, ILAR [Institute of Laboratory Animal Resources] Committee on NRC, National Academic Press pp125, http://www.nap.edu/read/5140/chapter/1)에 따라 실험했음을 원고에 기술한다.
  2. 2. 중복게재 금지
    임상노인의학회지나 다른 학술지에 이미 실렸던 원고는 게재하지 않는다. 유사한 내용의 논문을 이미 게재했던 경우에는 해당 논문의 사본을 원고와 함께 제출해야 하며, 간행위원회에서 중복게재 여부를 결정한다. 본지에 실린 논문도 임의로 다른 학술지에 게재할 수 없다. 다만, 국제의학학술지편집인위원회(International Committee of Medical Journal Editors, ICMJE)의 ‘Recommendations for the Conduct, Reporting, Editing, and Publication of Scholarly work in Medical Journals (http://www.icmje.org/recommendations/)’에서 규정한 이차출판의 조건을 만족한다면 재출판 할 수 있다.
  3. 3. 저자
    논문의 저자는 ICMJE의 저자 자격 요건에 따라 (1) 연구의 구상이나 설계에 실질적인 기여, 또는 자료의 획득, 분석, 해석 (2) 연구 결과에 대한 논문 작성 또는 중요한 학술적 부분에 대한 비평적 수정 (3) 출판되기 전 최종본에 대한 승인 (4) 연구의 정확성 또는 진실성에 관련된 문제를 적절히 조사하고 해결할 것을 보증하며 연구의 모든 부분에 책임을 지는 것에 동의하는, 이 4가지 요건을 모두 충족해야 한다. 원고 투고 시 모든 저자들이 저자 자격과 관련된 연구 및 출판 윤리를 이해하고, 투고 규정상의 저자 자격 기준을 만족하고 있음을 전자논문접수시스템 상의 저자점검표를 통해 밝혀야 한다.
    처음 투고할 때 지정한 제1저자 또는 교신저자는 교체할 수 없고, 공저자도 변경할 수 없다. 교신저자는 논문 수정과 최종 승인을 책임진다. 연구에 참여하였으나 저자의 조건을 갖추지 못한 사람은 기여자로 분류하고 감사의 글에 게재한다. 논문 투고 시 모든 저자의 연구자 고유식별 번호(Open Researcher and Contributor Identifier: ORCID)를 제시해야 한다. ORCID ID가 없는 경우, ORCID 홈페이지(http://www.orcid.org)에서 등록할 수 있다.
  4. 4. 표절/중복게재/연구부정행위 등 연구윤리와 관련된 사항은 대한의학학술지편집인협의회에서 제정한 ‘의학논문 출판윤리 가이드라인 최신판(https://www.kamje.or.kr/board/lists?b_name=bo_publication)’을 따른다. 출판된 학술 논문에 윤리지침에 어긋나는 사항이 있을 경우 이를 공시하고 부정행위를 한 당사자에게 출판윤리위원회에서 작성한 흐름도에 의거하여(https://www.kamje.or.kr/board/view?b_name=bo_reference&bo_id=41&per_page=) 해당 행위의 경중에 따라 적절한 경고 혹은 징벌을 한다. 논문취소 공지는 일반논문과 동일한 형식의 논문형태로 한다.
  5. 5. 이해관계 명시(Disclosure of Conflict of Interest)
    모든 저자는 결과 해석이나 논문의 진실성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모든 이해관계(재정적 또는 개인적 관계 등)를 편집자에게 알려야 한다. 연구비 수혜 내용과 그 외 연구와 관련된 재정적 이득(고용, 자문, 주식 소유 또는 옵션, 사례비, 특허 및 유료 자문, 여행경비 등)이 있는 모든 것은 표지 하단에 밝힌다. 그리고 저자 전원이 자필서명한 ‘저작권 이양 및 이해관계 명시에 대한 동의서’를 스캔하여 온라인으로 제출해야 한다.

저작권 양도

  1. 1. 저자들은 저작권 양도에 동의해야 하며, ‘저작권 이양 및 이해관계 명시에 대한 동의서’를 작성한 후 스캔하여 원고를 접수할 때 첨부한다
  2. 2. 게재가 결정된 원고의 저작권은 대한임상노인의학회로 귀속되며, 학회는 원고를 임상노인의학회지나 다른 매체에 출판/배포/인쇄할 권리를 가진다. 크리에이티브커먼즈의 저작자표시-비영리 라이선스(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CC BY-NC 4.0, http://creativecom m ons.org/licenses/by-nc/4.0)의 조건에 따라 배포되며, 원본 저작물에 대해 적절하게 출처를 표시한다면 비영리적 사용, 배포 및 복제는 제한없이 허용된다.

원고의 제출

  1. 1. 원고는 임상노인의학회지 전자논문투고 시스템 홈페이지(www.ekjcg.org/submission/Login.html)를 통해 접수한다. 이후의 모든 과정도 여기서 이뤄지고, 논문 심사의 진행 상태도 확인할 수 있다. 심사와 관련된 정보는 제1저자와 교신저자에게 별도로 전달된다
  2. 2. 저자는 ‘저작권 이양 및 이해관계 명시에 대한 동의서’를 인쇄하여 직접 작성한 후 이를 스캔하여 원고를 접수할 때 첨부한다.
  3. 3.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논문, 책, 창작물 등을 인용했다면, 저자는 이에 대한 승인을 받고 원고를 제출해야 한다. 그리고 원고의 해당 부분(본문, 그림, 표 등)에 출처를 표기한다.
  4. 4. 임상노인의학회지는 투고료, 심사료 및 게재료가 무료이다.

원고의 심사 및 채택

  1. 1. 접수된 원고는 편집인이 먼저 검토하고, 투고규정에 맞지 않다면 투고자에게 수정 후 재접수를 요청할 수 있다
  2. 2. 원고의 게재 여부는 해당분야 심사위원들(2인 이상)의 심사 결과에 근거해 간행위원회에서 결정하며, 저자에게 수정을 권고할 수 있다. 심사위원은 필요 시 재심 혹은 3심을 요구할 수 있다.
  3. 3. 필요한 경우 영문 및 통계 전문가에게 자문을 구할 수 있다.
  4. 4. 수정을 권고 받았다면 심사위원이 지적한 사항에 대해 항목별로 기술한 답신을 작성하고, 수정 원고와 함께 재접수한다.
  5. 5. 수정 권고 2개월 후까지 저자 회신이 없다면 논문 게재를 포기한 것으로 간주하며, 간행위원회의 결정에 따라 게재를 거부할 수 있다.
  6. 6. 최종 심의 결과에 대한 항소/이의제기는 심사결과를 통보받은 날로부터 5일 이내에 논문심사결과에 대한 구체적 의견서를 첨부하여 전자우편 혹은 서면으로 신청해야 한다. 편집위원회 회의를 거쳐 재심이 결정된 논문은 새로운 심사위원을 선정하여 재심사하며, 이 결정에 대해서는 재항소를 고려하지 않는다. 상세한 사항은 논문 심사규정을 따른다.

원고 작성 요령

  1. 1. 일반적 준수 사항
    • 1) 원고는 마이크로소프트(MS) 워드를 사용해 A4 (212×297 mm) 용지에 두 줄 간격으로, 상하와 좌우에 각각 3 cm의 여백 을 두며, 10 폰트 크기의 활자(국문은 맑은 고딕 또는 돋움, 영문은 Time New Roman 또는 Arial)로 작성한다. 표지부터 쪽수 를 순서대로 중앙 하단에 표기하고, 표지를 제외한 다른 부분에는 저자의 성명이나 소속을 기술하지 않는다.
    • 2) 국문으로 작성하는 경우 한글 맞춤법에 맞게 작성하며, 교육부 발행 과학기술용어집이나 대한의사협회에서 발간한 최신판 의학용어집에 수록된 학술용어를 사용한다. 약품명은 특정상품에 대한 연구가 아닌 한 원칙적으로 일반명으로 표기한다.
    • 3) 검사 수치는 통상적인 단위(Conventional Units)나 국제 단위(International System of Unit) 중 한가지만 사용한다.
    • 4) 약자는 가능한 사용하지 않되, 부득이한 경우 해당 용어가 처음 나올 때 괄호 안에 약자를 함께 표기하고, 이후에는 약자만 사용한다.
    • 5) 기계와 장비는 괄호 안에 모델명, 제조회사, 도시 또는 주, 국가를 기술한다. 시약은 일반명을 쓰는 것이 원칙이나 상품명을 괄호 안에 쓸 수 있고, 상품명을 쓸 때는 제조회사, 도시 또는 주, 국가를 괄호 안에 기술한다.
  2. 2. 원고의 순서
    원고는 ① 표지(Title page), ② Abstract & Keywords, ③ 본문 ④ 감사의 글(필요 시), ⑤ REFERENCES, ⑥ Table, ⑦ Figure legend 및 Figure순으로 작성하고, 각 부분은 새로운 페이지에서 시작한다. 초록, 참고문헌, 표 또는 그림은 영문으로 작성한다. 저자 정보가 담긴 표지와 그림파일은 본문과 별도로 분리하여 업로드한다.
    • ① 표지
      • 표지에는 다음 사항을 순서대로 기술한다: 1) 국문 제목, 2) 국문 저자의 성명과 소속, ORCID 번호, 3) 영문 제목, 4) 영문 저자의 성명 및 소속, 5) Funding (연구비수혜), 6) Conflict of interest (이해관계)를 명시한다.
        - 논문의 제목: 논문 내용을 요약하는 최소한의 단어들로 표기하며, ‘무엇에 대한 연구’ 또는 ‘무엇에 대한 고찰’이란 제목 은 사용하지 않는다.
        - 저자: 저자가 2인 이상일 때는 연구와 논문작성에 기여한 순서대로 나열하며, 저자명 사이는 쉼표로 구분한다. 영문 저자명은 ‘이름 성’의 순서로 쓴다. 소속기관이 다를 경우 아라비아 숫자의 어깨번호로 저자명과 소속을 일치시키며, 교신저자 (corresponding author)의 이름과 연락처(주소, 전화번호, Fax번호, 전자우편주소 등)를 영문으로 기재한다. 모든 저자들의 ORCID ID를 반드시 기재한다.
        - Funding (연구비 수혜): 연구비나 약물 지원을 받은 경우 해당 사항을 명시하며, 연구비 지원이 없는 경우 “none”으로 표시한다.
        - Conflict of interest (이해관계): 이해관계가 있는 경우 이를 명시하고, 명시할 이해관계가 없는 경우 원고 표지에 “The authors declare no conflict of interest.”으로 표기한다.
    • ② 영문 초록(Abstract)과 중심단어(keyword)
      • 1) 원저(Original article)
        Background, Methods, Results, Conclusion의 4항목으로 나누어 250 단어 이내로 작성한다.
      • 2) 종설(Review article)과 증례(Case report)
        항목 구분 없이 한 개의 문단으로 은 250 단어 이내로 작성한다.
      • 3) 중심단어(keyword)
        영문 초록 하단에 원고 내용에 부합하는 영어 중심단어 3~5개를 알파벳 순서로 기입한다. 가능하면 Index Medicus에 등재된 의학주 제 용어 (MeSH, http://www.nlm.nih.gov/mesh/MBrowser.html)를 사용하며, 약어는 사용할 수 없다.
    • ③ 본문 (Main text)
      • 1) 원저(Original article)
        원고는 국문 또는 영문으로 작성 가능하며, 본문은 서론, 대상 및 방법, 결과, 고찰로 나누어 다음과 같이 작성한다
        - 서론: 연구의 배경과 목적을 간결하고 명료하게 기술한다. 결과나 결론을 포함해서는 안 된다.
        - 대상 및 방법: 대상자의 선정기준, 연구/분석 방법 등을 순서대로, 다른 연구자들이 재현할 수 있도록 자세히 기술한 다. 사용한 통계프로그램의 정확한 이름과 판(version)도 명시한다.
        - 결과: 연구 결과를 명료하고 논리적으로 나열한다. 표나 그림이 있는 경우, 본문에 그 내용을 장황하게 기술하지 말 고, 중요한 경향 이나 요점만을 기술한다.
        - 고찰: 새롭고 중요한 관찰을 다른 연구들과 연관 지어 고찰하며, 그 의미와 제한점을 기술한다. 결과를 장황하게 반복해 서는 안 된다. 연구 결과의 범위 내에서 목적에 부합한 결론을 기술한다.
      • 2) 종설(Review article)
        종설은 간행위원회에서 특정 저자에게 위촉해 게재하나, 일반 투고된 경우에도 게재할 수 있다. 국문으로 작성하는 것을 원 칙으로 하되, 필요 시 편집위원회의 결정에 따라 영문으로 작성할 수 있다. 본문은 서론, 본론, 결론으로 나누어 작성한다.
      • 3) 증례(Case report)
        국문 혹은 영문으로 작성하며, 본문은 서론, 증례, 고찰로 나누어 작성한다.
      • 4) 단신(Brief communication)
        새로운 견해나 중요한 진전을 보고하는 짧은 논문으로, 원저의 형식을 따르되 5,000자 내외로 작성하며, 표와 그림 모두 를 포함해 2개를 넘을 수 없다. 간행위원회에서 원저를 단신으로 변경하도록 요청할 수 있다.
      • 5) 독자편지(Letter to the editor)
        최근 임상노인의학지에 게재된 논문에 대한 비평이나 특정한 학술 주제에 대한 의견을 제시할 수 있다.
    • ④ 감사의 글
      • 저자의 자격을 갖추지 못한 연구 기여자는 감사의 글에 게재하며, 어떤 역할을 했는지 구체적으로 기술한다(예, 자료수집, 재정적 보조, 통계처리, 실험분석 등). 저자는 기여자에게 감사의 글에 언급된다는 사실을 통보하고 사전에 동의를 받아야 한다
    • ⑤ 참고문헌
      • 1) ‘참고문헌’ 대신 ‘REFERENCES’로 표시하고, 모든 문헌은 영문으로 작성한다.
      • 2) 참고문헌은 본문에 인용한 순서대로 기재하고, 본문 해당 위치에 각괄호로 표시한다. 참고문헌은 저자의 이름이나 관련 내 용의 마지막 단어 뒤에 인용하며, 마침표나 쉼표는 각괄호 뒤에 위치한다(예. “...에 있다[23].”).
      • 3) 참고문헌의 저자명은 6인까지만 기재하고, 그 이상은 ‘et al’로 표시하고 약한다. 학술지명은 Index Medicus에서 승인한 약어로 표기한다.
      • 4) 초록은 참고문헌으로 인용할 수 없다. 피치 못할 경우에는 초록만 인용했음을 밝힌다. 채택되었으나 아직 출판 전인 논문을 인용할 때는 “인쇄 중(in press)” 또는 “근간(forthcoming)”이라고 명기한다. 채택 여부가 결정되지 않은 원고를 인 용할 때는 본문에 “미발간 결과(unpublished observation)”라고 명기하고, 저자에게 허가를 받아야 한다.
        • ① 학술잡지에 게재된 문헌을 인용했을 때
          저자명. 논문제목. 잡지명 연도;권(호):시작면-종료면(권마다 계속 페이지를 매겨 나가는 잡지는 호수를 생략)
          - 저자가 6명 이하일 때
          Moritz DJ, Kasl SV, Berkman LF. Cognitive functioning and the incidence of limitations in activities of daily living in an elderly community sample. Am J Epidemiol 1995;141:41-9.
          - 저자가 7명 이상일 때
          Ravaglia G, Forti P, Maioli F, Boschi F, Cicognani A, Bernardi M, et al. Determinants of functional status in healthy Italian nonagenarians and centenarians: A comparative functional assessments by the instruments of geriatric practice. J Am Geriatr Soc 1997;45:1196-202.
          - 저자가 단체일 때
          The Cardiac Society of Australia and New Zealand. Clinical exercise stress testing. Safety and performance guidelines. Med J Aust 1996;164:282-4.
          - 권(volume)에 부록(Supplement)이 있을 때
          Shen HM, Zhang QF. Risk assessment of nickel carcinogenicity and occupational lung cancer. Environ Health Perspect 1994;102 suppl 1:275-82.
          - 호(issue)에 부록이 있을 때
          Payne DK, Sullivan MD, Massie MJ. Women’s psychological reaction to breast cancer. Semin Oncol 1996;23(1 Suppl 2):89-97.
          - 저자가 미상일 때
          Cancer in South Africa [editorial]. S Afr Med J 1994;84:15.
          - 논문 형태를 표시해야 할 때
          Enzensberger W, Fischer PA, Metronome in Parkinson’s disease [letter]. Lancet 1996;347:1337.
          Clement J, De Bock R. Hematological complication of hantavirus nephropathy (HVN) [abstract]. Kidney Int 1992;42:1285.
          - 인쇄 중일 때
          Leshner AI. Molecular mechanisms of cocaine addiction. N Engl J Med. In press 1996.
        • ② 단행본을 인용했을 때
          저자명. 서명. 판차. 출판지: 출판사; 출판년도. p. 시작면-종료면
          - 개인저자일 때
          Ringsven MK, Bond D. Gerontology and leadership skills for nurses. 2nd ed. Albany (NY): Delmar Publishers; 1996.
          - 편저 중의 한 장을 인용할 때
          Philips SJ, Whisnant JP. Hypertension and stroke. In: Laragh JH, Brenner BM, editors. Hypertension: pathophysiology, diagnosis, and management. 2nd ed. New York: Taven Press; 1995. p. 465-78.
        • ③ 학술대회 회보
          저자명. 논문명. 학술대회 회보명(별도의 명칭이 없는 경우 학술대회명); 학회 개최 연월일; 학회 개최지. 출판지: 출판사; 출판년.
          Kimura J, Shibasaki H, editors. Recent advances in clinical neurophysiology. Proceedings of the 10th International Congress of EEMG and Clinical Neurophysiology; 1995 Oct 15-19; Kyoto, Japan. Amsterdam: Elsevier; 1996
        • ④ 학위논문을 인용할 때
          저자명. 학위 논문명[dissertation]. 학위수여 대학이 속한 도시: 학위수여 대학; 연도. 언어. Kaplan SJ. Post-hospital home health care: the elderly’s access and utilization [dissertation]. St. Louis (MO): Washington Univ.; 1995.
        • ⑤ 전자 매체 체제인 학술지 논문
          - Morse SS. Factors in the emergence of infectious diseases. Emerg Infect Dis [serial online] 1995 Jan-Mar [cited 1996 Jun 5]; 1(1):[24 screens]. Available from: http://www.cdc.gov/ncidod/EID/eid.htm.
          - 웹페이지/홈페이지를 참조했을 경우
          AMA: helping doctors help patients〔Internet〕. Chicago: American Medical Association; c1995-2007. [cited 2008 Feb 22]. Available from: http//www.ama-assn.org.
    • ⑥ 표 (Table)
      • 1) 표는 본문 내에 영문으로 작성하며, 새로운 페이지로 본문을 읽지 않고도 이해할 수 있도록 작성한다. 단, 설문지처럼 영어 표기가 적절치 않을 때 국문으로 작성할 수 있으며, 이 경우 통일성을 유지한다.
      • 2) 표 번호는 ‘Table 1.’과 같이 본문에 인용된 순으로 아라비아 숫자로 표시하며, 본문에 인용할 때도 동일하게 ‘Table 1’과 같이 인용한다.
      • 3) 제목은 절 또는 구의 형태로 간결하게 기술하며, 첫 글자는 대문자로 표기한다.
      • 4) 표는 2행 간격(double space)으로, 한 면에 하나씩 작성한다.
      • 5) 표의 내부에 세로줄은 사용하지 않고, 가로줄도 가능한 삼간다.
      • 6) 단위는 가능한 표의 내부에 기재하며, 불필요한 대문자로 표시하지 않는다. P value의 P는 대문자로 표기한다.
      • 7) 표 하단에 약자와 보충 설명에 대한 각주를 순서대로 단다. 약자는 언급되는 순서대로 줄 바꾸지 않고 연이어 기술한다(예: BMI, body mass index; CVD, cardiovascular disease; SBP, systolic blood pressure; DBP, diastolic blood pressure). 보충 설명은 표 내 해당 부분의 오른쪽에 어깨기호(*, †, ‡, §, ∥, ¶, ** 순)를 넣고, 표 하단에 해당 기호와 설명을 줄 바꾸지 않고 연이어 기술한다. 각주 별로 첫 글자는 대문자로 쓴다.
    • ⑦ 그림 또는 사진(Figure)
      • 1) 그림은 별도의 파일로 본문과 분리하여 업로드하며, 본문에는 따로 그림의 제목과 설명 (Figure legend)을 표기한다. 그림 의 제목은 절 또는 구의 형태로 간결하게 기술하며, 첫 글자는 대문자로 표기한다. 그림에 대한 보충 설명이 필요한 경우 간결한 영문 문장 형태로 기술한다.
      • 2) 그림과 사진의 해상도는 300 dpi 이상이어야 한다.
      • 3) 그림 번호는 본문에 인용된 순으로 ‘Figure 1.’과 같이 아라비아 숫자로 표시하며, 본문에 인용할 때도 동일하게 인용한다. 동 일 번호에서 2개 이상의 그림을 나열할 때는 아라비아 숫자 이후에 알파벳 글자를 추가해 표시한다(예, Figure 1A, Figure 1B).
      • 4) 약자와 보충 설명에 대한 각주는 표와 동일한 방법으로 단다.

기타

  1. 개정된 투고규정은 2014년 6월호부터 적용한다.
  2. 개정된 투고규정은 2016년 12월호부터 적용한다.
  3. 개정된 투고규정은 2018년 12월호부터 적용한다.
  4. 개정된 투고규정은 2020년 6월호부터 적용한다.
  5. 개정된 투고규정은 2023년 4월호부터 적용한다.

December 2022, 23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