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ISSN: 3058-7921
search for




 

History of Korean Journal of Geriatrics and Gerontology
Korean J Geriatr Gerontol 2024 Apr;25(1):1-3
Published online April 30, 2024;  https://doi.org/10.15656/kjgg.2024.25.1.1
Copyright © 2024 The Korean Academy of Geriatrics & Gerontology.

Editorial Board, Korean Journal of Geriatrics and Gerontology
Received April 9, 2024
This is an Open 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4.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Body

2024년 1월 1일부로 대한임상노인의학회가 대한임상노인학회로 명칭이 변경되면서, 공식 학술지 ‘임상노인의학회지’도 이번 호인 25권 1호부터 ‘대한임상노인학회지(Korean Journal of Geriatrics and Gerontology)’로 새로운 이름을 채택하였다. 이에 편집위원회는 대한임상노인학회와 학회지의 역사를 되돌아보고, 보다 다학제적 접근을 통한 노인 돌봄의 질적 향상을 도모하고자 한다.

대한임상노인의학회는 1992년 9월 10여명의 노인의학에 관심있는 의사를 주축으로 학문적 관심과 지식 교류를 위한 ‘대한노인병연구회(회장 배철영)’가 발족된 것이 그 시초이다[1]. 이후 월례 집담회, 심포지엄, 좌담회 등을 가지다가 회원수가 증가되면서, 조직기구의 확대, 다기관 공동연구 진행, 노인진료 체계화에 대한 요구가 부각되었고, 노인의학이 학문적, 사회적 당위성을 가지게 되어 학회의 필요성이 부상하였다. 이에 1999년 3월 30일 노인의학회설립 준비위원회(회장 김현승)가 조직되었고, 동년 10월 14일 리츠칼튼호텔에서 34인의 발기인과 81명의 참석자를 통해 ‘대한임상노인의학회 발기인대회’가 열렸으며, 10월 31일 인터컨티넨탈 호텔에서 ‘대한임상노인의학회 창립총회 및 제1회 추계학술대회’가 개최함으로써 학회가 설립되었다[1]. 이후 매해 춘ㆍ추계 학술대회 및 노인의학전문 인정의 자격 고시가 진행되고 있다.

학회의 공식 학술지로 1999년 학술대회집이 편찬된 후 2000년 1월 21일 임상노인의학회지 1권 1호가 발행되었고(종설 3편, 원저 5편, 편집위원장 이홍수), 이 시기에는 학술대회집이 학회지에 포함되어 연 4회 발행되었다. 2013년(편집위원장 송정수) 14권 1호부터는 학술대회집과 학회지가 분리되어 연 2회(6,12월) 발행되었고, 디자인, 사이즈, 인쇄지 등의 변경으로 현재의 학회지 모양을 갖추게 되었으며, 투고 규정 개정 및 영문 투고 규정, 논문심사 규정 등이 제정되었다. 2014년(편집위원장 최윤선) 15권 2호부터는 온라인 논문심사 시스템과 영문 저널 홈페이지(http://www.ekjcg.org/main.html, eISSN 2383-5699)를 구축하여 운영하였다. 2019년(편집위원장 김수경)에는 한국 학술지 인용색인(Korea Citation Index, KCI) 등재 후보지로 선정되었고, KoreaMed 등재를 위하여 대한의학학술지편집인협의회 단체회원으로 가입하였다. 이어 2021년(편집위원장 최윤선)에 KCI 등재지로 선정되었으며, 이후 학술지 질 향상을 위하여 추계 학술대회에서 각각 ‘임상노인의학회지 발전 워크샵(2022)’, ‘편집위원회 세미나(2023)’ 등을 개최하였다. 또한, 2023년부터는 학술지를 연 3회(4,8,12월) 발행하고, 투고 규정을 편의성과 시대성에 맞게 대폭 개정하였으며, 2024년에는 KCI 재인증평가와 KoreaMed 등재를 위한 신규평가를 앞두고 있다. Figure 1Table 1은 역대 학술지의 표지와 역대 편집위원장의 목록이다.

Figure 1. The evolution of the journal covers (A) cover, Korean Journal of Clinical Geriatrics 2000; Volume 1, Issue 1, (B) cover, Korean Journal of Clinical Geriatrics 2004; Volume 5, Issue 4, (C) cover, Korean Journal of Clinical Geriatrics 2013; Volume 14, Issue 1, (D) cover, Korean Journal of Geriatrics and Gerontology 2024; Volume 25, Issue 1

Table 1 . The list of past and present editors-in-chief.

Year Editors-in-Chief Institutions
2000-2001Hong Soo LeeEwha Women’s University
2002-2003Kyu Hoon LeeHanyang University
2004Moon Jong KimCHA University
2005Duk Chul LeeYonsei University
2006-2007Hong Soo LeeEwha Women’s University
2008-2009Mi-Jung KimHanyang University
2010-2011Jung Eun OhSoon Chun Hyang University
2012-2013Jung Soo SongChung-Ang University
2014-2017Youn Seon ChoiKorea University
2018-2019Soo-Kyung KimCHA University
2020-presentYoun Seon ChoiKorea University


최근 5년간 본 학회지에 게재된 연도별 게재 논문 수는 각각 2019년 9편, 2020년 17편, 2021년 16편, 2022년 17편, 2023년 20편이었다. Figure 2는 게재된 논문의 주요 키워드를 워드클라우드로 나타낸 것이며, 인용 상위 논문은 Table 2와 같다.

Table 2 . The top cited articles by other journals among recent articles published in Korean Journal of Geriatrics and Gerontology, over the last 5 years.

RankAuthor Year;volume (issue)TitlesNumber of citations*
1Kim [2]2020;21(1)Clinical feature of Coronavirus disease 2019 in elderly33
2Lee [3]2020;21(2)Oral health and systemic diseases in the elderly6
3Park [4]2020;21(2)Current treatments of Coronavirus disease 2019 in elderly5
3Kang et al. [5]2019;20(1)Community-friendly integrated systems for older persons, a shortcut to “aging in place” in the upcoming super-aged society burdens5
5Choi [6]2019;20(2)Management of osteoporosis in the elderly3
5Lee [7]2021;22(1)Trend analysis of adapted physical education and exercise rehabilitation using martial arts for the elderly in South Korea: A systematic review3

*Based on the result of search in April 9th 2024 [8]..



앞서 언급한 대로 2024년부터 학회지 공식 명칭이 ‘대한임상노인학회지’로 변경되어, 전국적으로 의학, 간호학, 사회복지학, 약학 등의 다양한 분야에서의 전문가들이 편집위원으로 활동하고 있으며, 노인 관련 사회 및 보건정책, 다양한 기초 및 임상연구, 영양 및 건강증진 등 다학제적 분야의 주제를 다루고 있어[9], 향후 학회지의 노인 돌봄 분야의 연구에서 중추적 역할을 기대한다.

Figure 2. Major keywords in recent articles in Korean Journal of Geriatrics and Gerontology, over the last 5 years (generated by Word Cloud GeneratorTM)
FUNDING

None.

CONFLICT OF INTEREST

No potential conflict of interest relevant to this article was reported.

References
  1. Seo JS. Publisher's note. Korean J Clin Geriatr 2000;1:1-2.
  2. Kim J. Clinical feature of Coronavirus disease 2019 in elderly. Korean J Clin Geriatr 2020;21:1-8.
    CrossRef
  3. Lee SY. Oral health and systemic diseases in the elderly. Korean J Clin Geriatr 2020;21:39-46.
    CrossRef
  4. Park JY. Current treatments of Coronavirus disease 2019 in elderly. Korean J Clin Geriatr 2020;21:54-64.
    CrossRef
  5. Kang HT, Shon C, Chun SY, Han DH, Hwang J, Lee YJ, et al. Community-friendly integrated system for older persons, a shortcut to "aging in place" in the upcoming super-aged society burdens. Korean J Clin Geriatr 2019;20:1-9.
    CrossRef
  6. Choi HS. Management of osteoporosis in the elderly. Korean J Clin Geriatr 2019;20:46-51.
    CrossRef
  7. Lee J. Trend analysis of adapted physical education and exercise rehabilitation using martial arts for the elderly in South Korea: a systematic review. Korean J Clin Geriatr 2021;22:15-21.
    CrossRef
  8. Korea Citation Index. Citation index view of the Korean Journal of Clinical Geriatrics [Internet]. Daejeon: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2024 [cited 2024 Mar 18].
  9. Korean Academy of Geriatrics & Gerontology. Submission guidelines of the Korean Journal of Geriatrics & Gerontology [Internet]. Seoul: Korean Academy of Geriatrics & Gerontology; 2024 [cited 2024 Mar 12].

 

December 2024, 25 (3)